본문 바로가기
꿀팁류/블로그 꿀팁(티스,네이버)

애드센스 블로그 포스팅 별 수익 확인방법. 어떤 포스팅에서 얼마만큼의 수익이 나왔을까?

by 워럭맨 2020. 10. 19.
반응형

늘어나라 애드센스 수익!

 광고수익구조로 대표적인 구글 애드센스는 티스토리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고, 그 위에 얹은 여러 유형의 광고에 발생하는 클릭으로 인해 수익을 얻는 구조이다. "이 광고를  클릭해달라"고 명시적으로 부탁하거나, 광고를 잘 클릭하도록 착각하게 만들어 인위적으로 광고수익을 늘리는 것이 구글 약관에 따라 금지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광고수익을 거두기 위해서는 ① 특정 주제에 대한 자연스러운 포스팅을 하고, ② 해당 포스팅을 관심있게 읽은 사용자가 본인의 관심사나 포스팅 내용과 관련있는 구글 애드센스의 광고를 자연스레 클릭을 해야한다. 

여기를 눌러달라구!!(이러면 안됨)

 그러다보니 직접 광고 클릭 해서 수익을 올려달라는 말도 못해, 넌지시 광고가 클릭되도록 뭔가 장치를 해놓지도 못해, 그냥 내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성실히 글을 쓰는 수밖에 없다. 글의 내용이 좋고, 본인이 해당 주제에 더 알고 싶은 내용이 광고로 게재된다거나, 본인의 관심사가 우연히 광고로 노출이 되어서 클릭을 하게 된다거나 하는 식으로 광고 수익이 나는 것이다.  물론 걸리지 않고, 광고를 클릭해달라고 묘하게 돌려서 요구한다거나 첨부하는 이미지와 수익이 발생하는 광고를 혼동되게 만들어서 클릭이 발생하게끔 유도할 수도 있겠지만, 구글의 제재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방법은 최대한 지양하고, 콘텐츠로 승부를 거는 것을 추천한다. 애써 공들여온 블로그가 검색결과에서 누락되는 결과를 초래하지는 않아야 할 것 아닌가? 

 

 뭐 여튼 그래서 글을 쓸 때 구체적으로 "어떤 글을 써서 얼마만큼의 클릭을 발생시켜야지"라는 목적을 갖고 글을 쓰기가 힘들기 때문에, 어떤 방식의 글쓰기가 수익이 많이 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어떤 글에서 얼마만큼의 수익이 발생한지를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구글 애드센스에서 매 글마다 URL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는데 이는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구글 애드센스

 우선 구글 애드센스에 로그인을 하고 '보고서'를 클릭한다.

URL채널

 URL 채널을 클릭하면, 각 포스팅 URL별로 예상수입이 얼마나 났는지를 볼 수 있다. 내가 포스팅을 한 게시물이 자동적으로 애드센스에서 조회할 수 있는 건 아니고 내 pub 코드의 광고를 게재하고 있는 개별 포스팅 URL을 하나하나 입력해야지 각 게시물마다 얼마만큼의 수익이 났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URL 채널을 관리하고 입력할 수 있는 건 위 캡처 화면의 우측 상단(캡처에선 짤림)의 톱니바퀴 모양 → URL 채널 관리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URL 채널 관리

  URL 채널 관리 메뉴로 들어가면 아래처럼 그동안 내가 일일이 채널에 추가해 놓았던 URL들을 확인할 수 있다. 

URL 채널 관리

 이렇게 내가 일일이 추가해둔 URL들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채널 목록에 추가를 해두면 해당 URL주소의 포스팅이 얼마의 기간동안 얼마만큼의 수익을 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좋다. 하지만 맹점은, 최대 추가할 수 있는 URL주소의 개수가 500개이기 때문에 규모가 있는 블로그에서 500개 이상의 포스팅을 한 경우에는 게시물이 누락될 수도 있어, 어떤 특정 게시물의 수익이 궁금한 경우 선별해서 목록을 추가해두는 편이 좋다. 채널 추가는 상단의 '채널추가'버튼을 클릭한다.

채널 추가

 URL을 입력한다. abc.tistory.com/1 같은 형식으로 입력한다. 여러 URL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엔터키를 이용해서 일일이 입력할 수도 있지만, 기존에 입력을 하지 않았다가 많은 수의 URL을 한번에 입력을 하려거든, 엑셀에 해당 도메인을 작성한 후 밑으로 쭉 드래그를 해서 자동으로 주소가 입력되게끔 한 후 복사 붙여넣기 기능을 사용하면 편리하다. 하지만 최대 500개의 주소밖에 추가할 수 없기 때문에, 글을 500개 이상 작성한 블로거가 모든 URL주소를 추가할 수 없기 때문에, 조회수가 많은 게시물을 중심으로 일일이 입력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하나의 포스팅을 작성하고, 하나의 채널을 추가하는 식으로 처음 부터 관리를 해주는 게 편할 듯 하다. 이렇게 일일이 구글 애드센스 사이트에서 URL을 추가하는 것이 아니라 포스팅을 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추가가 되었으면 좀 더 편하지 않았을까, 그리고 최대 추가할 수 있는 채널의 수가 500개밖에 되지 않는 것도 아쉽다. 특정 한 두개의 게시물의 수익을 파악하는 게 아니라 꽤나 많은 게시물들의 수익을 파악하기 위해 조회할 수 있도록 마련한 데이터인데, 500개로 제한을 해버린 건 한 개의 데이터도 아니고 모든 데이터도 아닌 애매한 규모의 URL 채널들의 수익만을 조회할 수 있는 거라, 500개 포스팅의 수익을 각각 개별적으로 추적할 수 있더라도 전체 블로그 개별 포스팅의 수익이 아니므로 통계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데이터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블로그의 전 게시물을 조회할 수 있거나, 차라리 하나의 포스팅의 수익을 개별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구조였으면 더 편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이상 어떤 포스팅에서 얼마 동안의 기간동안, 어느 정도의 수익이 각각 발생하는지를 조회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블로그에 작성한 모든 게시물들의 경향을 파악하기는 힘들지라도, 꽤나 정성들여 쓴 글, 조회수가 높은 글들 중심으로 수익이 얼마나 발생하는지를 검토해보면, 어떤 방식으로 글을 쓰고 어떤 키워드를 다루는 것이 바람직한지 어느 정도는 감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애드센스 수익 극대화를 위해 본인의 글쓰기를 돌아보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 포스팅이었으면 좋겠다.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