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도메인을 씌운 이 워럭닷컴 블로그가 애드센스 사이트 추가 승인 거절을 당했다. 콘텐츠를 많이 쌓지 않고, 그렇게 인기있게 검색되는 게시물도 없지만, 애드센스 대란 여파를 조금 기대하기도 했었고, 얼추 텍스트 수를 많이 적은 게시물들을 쌓아왔기 때문에 어쩌면 애드센스 승인의 문턱을 넘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안일한 생각에 신청을 넣었는데 거절을 당했다. 흔히 티스토리 도메인을 가진 블로그를 사이트 추가신청한 후 거절을 당했을 때 '가치 있는 인벤토리 : 콘텐츠 없음'이라는 문구를 통한 거절을 많이 당했는데, 이 이차도메인을 씌운 블로그로 사이트추가 신청을 했다 거절당했을 때 받은 문구는, 내용은 비슷하나 조금은 다른 문구였다.
구글 애드센스 - 사이트에 들어가면 내가 추가를 해놓은 사이트들의 목록이 뜬다. 그 중 애드센스 광고 승인을 받은 사이트는 '준비 중'이라는 문구가 떠있는데, 위의 캡처본처럼 광고승인 거절을 당한 사이트의 경우 '주의 필요'라는 문구가 뜬다. 우측 하단의 '세부정보 표시'를 통해 왜 내가 추가하고자 한 사이트가 광고승인 거절을 당한지 파악할 수 있다.
"가치가 별로 없는 콘텐츠"라는 정책 위반사항이 발견되어 아직 광고를 게재할 수 없다고 한다. 정말 뼈아픈 말이다. 내가 애써 쓴 콘텐츠들이 가치가 별로 없다는 이야기니 말이다. 변명을 좀 하자면, 물론 해박한 지식이나 전문성이 있어서 해당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적시에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은 아니지만, 구글 애드센스를 활용하여 수익을 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에 대한 나의 경험과 그 경험을 하며 느낀 소회를 풀어, 애드센스 광고수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유경험자의 경험을 들려주려 한 것인데, 아예 가치가 없다고 일축을 해버려 조금 섭섭했다. 구글 애드센스 정책 규정은 뭐, 이런 저런 이야기들이 많지만 결국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틀리지 않는 정확한 정보를 많이, 자주, 짧지 않게, 저작권 정책에 위배되지 말고, 기타 모욕이나 명예훼손을 범하지 않도록, 기본적인 현행법을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작성을 하라는 것 정도일진대, 내용 자체가 빈약하다는 이유로 이렇게 승인을 주지 않는 건 별 방법이 없었다. 내용이 빈약하지 않게끔 콘텐츠를 보강해서 재신청을 넣을 수밖에는 없다. 그럼 과연 구글 애드센스가 빈약하다고 생각하는 콘텐츠는 대체 어떤 걸까? 내가 어떤 콘텐츠들을 작성했길래 이렇게 광고를 안 넣어주는 걸까 싶어서 '내용이 빈약한 콘텐츠'를 클릭해봤다.
품질이 낮은 페이지나 빈약한 페이지를 감지한다는데, "내용이 빈약하며 부가가치가 전혀 또는 거의 없는 콘텐츠를 자주 포함하는 페이지의 일반적인 예"에 해당이 되면, 사용자에게 그다지 차별화되거나 가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하여 가이드라인에 위배된다고 한다. 가이드라인이야 일반적인 이야기니 차치한다고 하고, 내 콘텐츠들이 위의 저 예에 속한는지 생각해봤다.
1) 자동으로 생성된 콘텐츠 : 아님 2) 빈약한 제휴 페이지 : '빈약한'이라는 주관적인 단어라면, 해석상 그러할 수는 있겠지만 제휴 페이지는 아님. 3) 다른 출처로부터의 콘텐츠 : 정보성 콘텐츠라기보다, 돈을 버는 나름의 방안에 대한 걸 메인 주제로 삼고 있기 때문에 딱히 많은 다른 출처를 인용하지 않았음. 4) 도어웨이 페이지 : 검색 엔진의 인덱스를 이용하는 스팸의 일종이라고 하니 해당되지 않는다. |
위의 명시적으로 일반적인 예시라고 든 사례에 해당사항이 없었지만, 빈약한 페이지라는 이유로 "가치가 별로 없는 콘텐츠"라는 정책위반사항을 포함하고 있다며, 광고 게재를 거절당했다. 봇이 판단하기에, 아직은 글도 20개 남짓에 그렇게 방문자수를 유입하는 매력적인 포스팅이 없다보니, 빠르게 활성화도 되지 않고, 실속있는 내용이 없다는 주관적인 판단을 내린 게 아닐까 생각해본다. 뭐 어쨌든 광고를 내 블로그에 실어주는 건 구글 애드센스고, 내 블로그가 활성화가 되어야 그 안에 광고를 하나라도 더 달기 위한 광고주들의 경쟁을 통해 블로그 지수도 올라가고, 광고단가도 올라서 더 높은 수익을 거두게 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 광고를 주기에 부족하다고 판단을 해버린 구글의 판단을 존중할 수밖에 없다. 다만, 일반적으로 세팅해놓은 거절 사유 대신, 구체적으로 마케터 별로의 부족한 점을 지적해줄 수 있는 서비스를 조금은 강화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매 건마다 신청하는 건건이 개별로 판단하여 기록을 하기 버겁다면, 적어도 내 거절사유를 포함하고 있는 여러 카테고리의 일반적인 이유라도 알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어차피 애드센스 승인대란 때를 제외하고는, 늘 7전 8기 끝에 블로그 광고 승인을 받았었다. 쉽사리 승인을 받을 거란 생각은 안하고 있다. 이차 도메인을 입힌 블로그는 처음이지만, 아직 사이트 추가신청을 하고 콘텐츠를 보강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론은 찾지 못했다. 늘 하던대로 뚝심있게 내가 쓸 내용을 쓰고, 방문자 수 유입을 증가시키는 것에 더해, 구글이 가치있다고 판단할만한 양질의 포스팅을 해 나가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쉽지 않은 길이지만 천천히 나아가보자.
'꿀팁류 > 블로그 꿀팁(티스,네이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차도메인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ads.txt 파일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하나... (0) | 2020.12.19 |
---|---|
블로그 활성화, 애드센스 고수익을 위한 나만의 포스팅 전략. 여러 블로그에 다양한 주제의 많은 포스팅 하기 (0) | 2020.11.20 |
애드센스 블로그 포스팅 별 수익 확인방법. 어떤 포스팅에서 얼마만큼의 수익이 나왔을까? (0) | 2020.10.19 |
[워럭맨의 월억벌기] 카카오 애드핏 광고 보류(반려) 사유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이다(콘텐츠 부족, 광고 노출,자체 콘텐츠 보충 등). (0) | 2020.10.14 |
티스토리 북클럽 스킨 메인 화면 글 개수 최대로 늘리기 (2) | 2020.10.07 |